Column by Pastor Konju (Peter) Kim

담임 목사 칼럼 및 설교문

제목원어해설_익숙하면서도 오해하고 있는 헬라어 의미들2022-09-16 00:58
작성자 Level 10

익숙하면서도, 오해하고 있는 단어들
로고스와 레마
아가페와 필로스
카이로스와 크로노스

1.로고스와 레마

‘로고스’(λόγος)라는 단어는 ‘말씀, 연설, 설명 (account), 이성(reason)’ 등의 뜻이 있습니다.
레마(ῥῆμα)는 '말 (word), 선언, 말한 것' 또는 '일" (matter; thing)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즉 로고스는 객관적인 전달자의 입장에서 누군가의 이야기 혹은 견해를 전달하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면,
레마(ῥῆμα)는 말하고자 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의도나 의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로고스는 신약성경에 약 330번 나온다면, 레마는 약 68번 나옵니다.
그렇지만, 같은 의미로 혼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너희가 무슨 무익한 "말" (레마)을 하든지 심판을 받을 것이고, 네 "말"(로고스)로 정죄를 받을 것이다 라고 한 구절을 있습니다 (마 12:36-37).
여기서, 로고스와 레마는 같은 의미입니다.

또 다른 예로, 에베소서 6장 17절에서 '하나님의 말씀' ("레마")과 19절의 '말씀'("로고스")은 문맥의 의미상 같은 의미입니다.
가장 유명한 히브리서 4장 12절에서 '하나님의 말씀(로고스)은 살아있고 운동력이 있다'고 했는데, 이 구절도 흔히 생각한 것 처럼 레마가 아니라 로고스 입니다.

"레마"라는 단어만 살펴보아도 문맥의 의미상 다양하게 쓰여지고 있습니다:
1) 하나님의 말씀 ( 마4:4; 눅1:37; 요3:34 등등),
2) 예수님의 말씀 (마26:75; 막9:32; 눅2:50,51; 요5:47 등등 )
3) 복음 (행5:20,32; 10:22,37,44 롬10:8,9,18 등등)
4) 단순히 인간의 말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마12:36; 눅24:11; 행6:11,13; 고후13:1 등등)


2. 아가페와 필로스

아가페와 필로스 (동사:필레오)도 마찬가지입니다.
아가페는 동사 아가파오에서 나왔는데, 그 의미는 사랑(love) 애정(affection), 호의(good-will) 등 폭넑게 쓰입니다.
필로스는 '친밀한 사랑' 혹은 '우정적인 사랑'이라는 측면에서 의미상 아가페와 구분되어 사용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보다 넓은 의미로 흔히 아가페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요한복음의 두 구절을 보세요:
"아버지께서 아들을 사랑 (ἀγαπᾷ) 하사" (요 3:35)
"아버지께서 아들을 사랑(φιλεῖ)하사" (요5:24)

같은 의미의 말씀인데, 한번은 "아가파" (아가페의 동사)로, 그리고 한번은 "필레이" (필로스의 동사)를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아가페와 필로스라는 두 단어가 사실상 보편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카이로스와 크로노스

일반적으로 크로노스 (시간, 때)는 객관적인 혹은 역사적인 흐름의 시간이라면,
카이로스 (시간, 때)는 보다 주관적으로 의미화한 시간이라고 흔히 말합니다.
물론 그런 구분이 가능하지만 항상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헬라어 ‘카이로스’는 하나님이 정하신 특별 시간을 가르키고,
이와 대조적으로 ‘크로노스’라는 단어는 그냥 흘러가는 시간을 의미한다고 설명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요한복음을 보면, 예수님께서 자신의 친동생들에게 예루살렘에 가는 시점에 대해서 말씀합니다.
즉 ‘내 때(‘카이로스’)는 아직 이르지 아니하였고, 너희 때(‘카이로스’)는 늘 준비되어 있다 (요7: 6).
여기서 '때' 혹은 '시간'은 둘다 ‘카이로스’ (καιρὸς)입니다.
즉 ‘카이로스’라는 단어 자체가 크로노스와 달리 특별한 하나님의 섭리의 때나 의미있는 시간(때)을 구분해서 말하지 않습니다.
너무 설명이 길어서 여기 까지만 합니다.

결론.
성경원어 단어들(히브리어와 헬라어)을 이해하는 보편적인 원리와 이치는 같습니다.
즉 단어의 의미가 영어와 같은 다의어이기 때문에 한가지 특별한 의미로만 사용하지 않고 넓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다른 단어 혹은 비슷한 의미의 단어들도 같은 의미로 서로 바꾸어 사용됩니다.
우리 말도 마찬가지입니다. 단어는 다양한 표현의 한 수단(도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성경의 원어 단어의 의미 하나에 너무 집착하거나, 거기에 심오한 의미가 있다고 오해하지 마세요.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18 (2)
test3
test
Read More
8-1
test2
test
Read More
16 (2)
test
test
Read More